top of page
모 ・ 두 ・ 보 ・ 기

![[근대문화유산] 민초의 신앙](https://static.wixstatic.com/media/b2f683_681c39462311477792502ba4ee5672ae~mv2.jpg/v1/fill/w_170,h_227,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b2f683_681c39462311477792502ba4ee5672ae~mv2.webp)
[근대문화유산] 민초의 신앙
민초의신앙
2023년 4월 11일1분 분량

![[안성문화유산] 죽주산성](https://static.wixstatic.com/media/b2f683_d07f413372f84dedb18b982d7d2b6f31~mv2.jpg/v1/fill/w_171,h_227,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b2f683_d07f413372f84dedb18b982d7d2b6f31~mv2.webp)
[안성문화유산] 죽주산성
안성시 죽산면에 위치 죽주산성
2023년 4월 9일1분 분량

![[안성문화유산] 안성의 사찰](https://static.wixstatic.com/media/b2f683_44a0846641394191a1ec015a4147cc4a~mv2.jpg/v1/fill/w_170,h_227,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b2f683_44a0846641394191a1ec015a4147cc4a~mv2.webp)
[안성문화유산] 안성의 사찰
불교 대중화의 주류인 안성시의 사찰
2023년 4월 9일1분 분량

![[안성문화유산] 쌍미륵](https://static.wixstatic.com/media/b2f683_afb30cb5f3c844a6b38081e77ef7a1ea~mv2.jpg/v1/fill/w_171,h_227,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b2f683_afb30cb5f3c844a6b38081e77ef7a1ea~mv2.webp)
[안성문화유산] 쌍미륵
미륵의 고장 안성 삼죽 쌍미륵은 궁예의 한을 잊지 못한 민초들의 염원을 담아 세운 미륵이다 한 쌍의 미륵 중에 궁예와 부인의 미륵을 함께 세운 거대한 미륵이다
2023년 4월 9일1분 분량

![[안성문화유산] 아양동미륵](https://static.wixstatic.com/media/b2f683_182faaff36104fb09342afbcf304bd93~mv2.jpg/v1/fill/w_170,h_227,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b2f683_182faaff36104fb09342afbcf304bd93~mv2.webp)
[안성문화유산] 아양동미륵
미륵의 고장 안성의 아양동 미륵 평생을 아양 미륵 모심으로 살아온 김춘자 보살님 2018년 생몰.
2023년 4월 9일1분 분량

![[안성문화유적] 장승들](https://static.wixstatic.com/media/b2f683_fae0187418704d17b0738678a8f403e6~mv2.jpg/v1/fill/w_170,h_227,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b2f683_fae0187418704d17b0738678a8f403e6~mv2.webp)
[안성문화유적] 장승들
안성의 장승과 비석들
2023년 4월 9일1분 분량

![[안성사람들] 50~80년대 안성역 사람들](https://static.wixstatic.com/media/b2f683_cb503b7524964ad9ad622d33871754fa~mv2.jpg/v1/fill/w_171,h_227,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b2f683_cb503b7524964ad9ad622d33871754fa~mv2.webp)
[안성사람들] 50~80년대 안성역 사람들
지금은 사라진 안성역의 60~70년대의 사람들
2023년 4월 9일1분 분량

![[영상시집] 시골(詩谷) 여행 발간](https://static.wixstatic.com/media/b2f683_5d67c78a17aa4d73b8630f4d9547c7dc~mv2.jpg/v1/fill/w_170,h_227,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b2f683_5d67c78a17aa4d73b8630f4d9547c7dc~mv2.webp)
[영상시집] 시골(詩谷) 여행 발간
안성지역시민과 안성지역작가(문인)의 작품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프로그램
2023년 4월 8일4분 분량

![[달팽이 문화예술 교육] 시골(詩谷) 여행](https://static.wixstatic.com/media/b2f683_87a60b2d537545c6a6f72384bfa7904b~mv2.jpg/v1/fill/w_171,h_227,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b2f683_87a60b2d537545c6a6f72384bfa7904b~mv2.webp)
[달팽이 문화예술 교육] 시골(詩谷) 여행
안성 향토 시인과 문인의 작품을 영상언어로 재창조해보는 프로그램
2023년 1월 1일1분 분량

![[사진집] 안성, 그 많은 미륵은 어디서 왔을까?](https://static.wixstatic.com/media/b2f683_218f604b560f46358c036468915c6eda~mv2.jpg/v1/fill/w_170,h_227,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b2f683_218f604b560f46358c036468915c6eda~mv2.webp)
[사진집] 안성, 그 많은 미륵은 어디서 왔을까?
이기원 . 강신호 . 주용성 사진집 발간 2022년 경기문화재단 지역문화지원 활성화 지원사업으로 대안문화학교 달팽이에서 기획주관으로 사진가 강신호, 주용성의 사진과 이기원(사진가 및 사진평론)의 자료사진을 종합하여 발간되었다. 기획의도 이기원...
2022년 12월 11일4분 분량

![[안성사람들] 2000년 이후, 안성사람들](https://static.wixstatic.com/media/b2f683_153175177cba4310a1d5bf499880127a~mv2.jpg/v1/fill/w_170,h_227,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b2f683_153175177cba4310a1d5bf499880127a~mv2.webp)
[안성사람들] 2000년 이후, 안성사람들
고난의 세월 끝나고 새로운 세기가 들어서면서, 안성 사람들의 삶은 어떠했을까? 기댈 곳 없이 팍팍한 삶을 살아온 세대와 중년의 세대 그리고 신세대들의 초상화들이 이곳에서 기록 보관된다. 삶이란 얼마만큼의 댓가를 치뤄야만 상처없이 건너올 수 있는...
2021년 6월 23일1분 분량

![[근대문화유산] 고단한 삶을 안아 내던 우리네 삶의 안식처였던 집과 공간들](https://static.wixstatic.com/media/b2f683_105737e7ae9445589e1b8b3d092f7bc9~mv2.jpg/v1/fill/w_171,h_227,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b2f683_105737e7ae9445589e1b8b3d092f7bc9~mv2.webp)
[근대문화유산] 고단한 삶을 안아 내던 우리네 삶의 안식처였던 집과 공간들
우리가 태어나서 살아왔던 집들과 건물들
2021년 4월 11일1분 분량

![[안성사람들] 1960~ 1980년의 안성사람들](https://static.wixstatic.com/media/b2f683_08b4d2be8d7f4c5bb0be066cb640c4d3~mv2.jpg/v1/fill/w_170,h_227,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b2f683_08b4d2be8d7f4c5bb0be066cb640c4d3~mv2.webp)
[안성사람들] 1960~ 1980년의 안성사람들
1960년에서 1980년 사이의 안성에서 사람들이 살아가는 모습
2021년 4월 9일1분 분량

![[달팽이 문화예술 교육] 오래된 문화유산, 사진에 담다 1.2](https://static.wixstatic.com/media/b2f683_b811f54aaeec4150a9937c07475c7bde~mv2.jpg/v1/fill/w_171,h_227,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b2f683_b811f54aaeec4150a9937c07475c7bde~mv2.webp)
[달팽이 문화예술 교육] 오래된 문화유산, 사진에 담다 1.2
오래된 문화유산, 사진에 담다
2021년 3월 10일1분 분량

![[달팽이 문화예술 교육] 우리동네, 만능공작소](https://static.wixstatic.com/media/b2f683_99f01ec27e57453384546ab4d6395725~mv2.jpg/v1/fill/w_170,h_227,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b2f683_99f01ec27e57453384546ab4d6395725~mv2.webp)
[달팽이 문화예술 교육] 우리동네, 만능공작소
우리동네, 만능공작소
2020년 12월 1일1분 분량

![[근대문화유산] 농경사회의 삶의 흔적들과 도구들](https://static.wixstatic.com/media/b2f683_a35e8d3fa6134fcc9a30ee6f4b08271f~mv2.jpg/v1/fill/w_170,h_227,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b2f683_a35e8d3fa6134fcc9a30ee6f4b08271f~mv2.webp)
[근대문화유산] 농경사회의 삶의 흔적들과 도구들
농경에 필요한 도구들
2020년 10월 1일1분 분량

![[근대문화유산] 사라지는 지역 문화유산](https://static.wixstatic.com/media/b2f683_b92e6774875d4847b842c08d3224f3f4~mv2.jpg/v1/fill/w_171,h_227,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b2f683_b92e6774875d4847b842c08d3224f3f4~mv2.webp)
[근대문화유산] 사라지는 지역 문화유산
사라는지는 것들
2020년 2월 11일1분 분량


빛 그림 사진 모임
2017년 향교에서 진행했던 리얼리즘 사진학교 출신들이 모여 만든 순수 사진 동아리 다양한 연 배의 회원들이 모여 일상의 소소한 이야기를 사진으로 찍으며 친목 모임을 이어가고 있다 사진은 빛으로 만드는 그림이란 의미의 사진 동아리 우리 동네...
2020년 1월 24일1분 분량


다큐(documentary) 사진 모임
문명과 문화의 충돌로 우리들 주변 삶의 변화를 예리하게 사진으로 기록하고 오래된 소중한 우리 역사와 문화 유적, 삶의 땀 냄새가 배어있는 근대 문화유산들이 사라지는 것을 사진으로 기록하고 창작하는 전문 사진 모임이다 프로사진가와 아마츄어...
2019년 4월 20일1분 분량

![[경기 생활 문화 플렛폼 프로그램]](https://static.wixstatic.com/media/b2f683_ad05bf01773e4423ba7e433df06921b4~mv2.jpg/v1/fill/w_170,h_227,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b2f683_ad05bf01773e4423ba7e433df06921b4~mv2.webp)
[경기 생활 문화 플렛폼 프로그램]
“오래된 유산, 기억을 재생하다“ 프로젝트는 2017년 만능 공작소, 기억의 재생을 확대하여 활동 공간을 산골 마을을 무대로 하여 생활 문화를 확산 시켜 나가는 프로그램이다.
2019년 1월 25일1분 분량
![[달팽이 문화 예술 교육] 마을 신화와 역사, 예술을 만나다](https://static.wixstatic.com/media/b2f683_b28912361e9044d585627e9b7b85945b~mv2.png/v1/fill/w_170,h_227,fp_0.50_0.50,q_95,enc_avif,quality_auto/b2f683_b28912361e9044d585627e9b7b85945b~mv2.webp)
[달팽이 문화 예술 교육] 마을 신화와 역사, 예술을 만나다
2018년 달팽이 '마을 신화와 역사 예술을 만나다" 시행
2019년 1월 12일1분 분량
bottom of page